logic
-
Modus Ponens is sound but incomplete.카테고리 없음 2007. 7. 2. 11:54
Russell의 'Artificial Intelligence: A Modern Approach'에 나온 예제다. Modus Ponens는 First-Order Logic 문장들에 대해 Sound하지만 Incomplete한 추론을 한다. P → Q ⌉P → R Q → S R → S Complete한 추론 규칙이라면 S를 유도해내야 한다. P 또는 ⌉P 중 하나는 반드시 참일 것이기 때문이다. 하지만, Modus Ponens는 못한다. -_-
-
Comprehension Principle카테고리 없음 2004. 5. 18. 15:11
Comprehension principle이란 무엇인가? OWL 추론 관련 일을 하면서 맞이하는 가장 어려운 점은 이상한 나라에서나 나옴직한 용어들과 시도때도 없이 대면해야 한다는 점이다. 이 모든 것이 학교 다닐 때 수업에 집중하지 않은 탓이요, 또 하나는 내 전문 분야가 아니기 때문이다. 나를 많이 괴롭혔던 많은 용어들 중 하나가 바로 Comprehension Principle(이하 CP)이다. CP가 무엇인가? 한마디로 오리무중이었다. W3C의 시맨틱웹 관련 메일링리스트에서 종종 대면했던 이 용어!! 드디어 오늘 난 웹 검색을 시작했다! 그리고 철학과 논리학 지식의 보고인 스탠포드의 플라톤 철학 백과 사전 사이트(http://plato.stanford.edu)에서 원론적이지만 결정적인 지식을 찾게 ..
-
논리학 용어들카테고리 없음 2004. 1. 26. 15:08
온톨로지, DL, 규칙 등 시맨틱 웹 관련 문서들을 보다 보면 논리학 관련 용어들이 심심치 않게 등장한다. 우연찮게 발견한 국내 논리학 논문을 통해 몇몇 용어들의 한글 이름을 적어본다. - entailment: 필함 - entail: 필함한다. - conjunction: 연접 - disjunction: 선접 - disjunct: 선접지 - negation: 부정 - boolean expression: 부울식 - Herbrand Base: 허브랜드 토대 - sentential logic: 문장 논리 - connective: 연결사 - tautology: 항진식 - equality: 동치
-
Situation Calculus...카테고리 없음 2004. 1. 26. 15:07
상황 계산법(Situation Calculus)은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세계를 표현하기 위한 지식 표현법의 하나이다. 상황 계산법에서는 어떤 사실이 참이 되는 상황, 또는 - 반대로 - 어떤 상황을 묘사하기 위해 필요한 사실들을 기술하는 방법 및 이들의 변화 과정 속에서 추론을 수행하는 방법이 무엇인지를 연구한다. [1]에 따르면, 상황 계산법은 "시간에 따른 변화를 추론하기 위해 매카시(John McCarthy)가 개발한 일차 술어 논리 이론"이다. 다음 문단은 매카시의 논문 [2]에서 발췌한 것이다. One of the basic entities in our theory is the situation. Intuitively, a situation is the complete state of affai..
-
Modal?카테고리 없음 2004. 1. 21. 15:03
Modal의 의미를 사전에서 찾아보니 이렇다. a modal or a modal auxiliary is a word such as 'can' or 'would' which is used with a main verb to express ideas such as possibility, intention, or necessity. 영어 공부할 때 배운 조동사가 바로 modal 이다. 따라서, 양상 논리(Modal Logic)는 술어를 꾸미는 양상 연산자를 통해 가능성, 필요성, 의도 등을 표현할 수 있게 하고 각 양상 연산자가 논리 연산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 정의하는 학문이 되리라. 실세계의 지식을 모델링하려면, 이는 필수적 표현력이 되리라.
-
양상 논리카테고리 없음 2004. 1. 20. 14:59
양상 논리를 키워드로 하여 구글 검색을 시도해 보니 다양한 문서들이 검색된다. 그 중 PDF 문서 하나[1]를 열어 보게 되었는데 그 내용인 즉 매우 복잡해 보이는 논리 이론에 관한 것이었다. 헌데 놀랍게도 - 내 무지로 인한 놀라움이리라 - [1]은 철학을 공부하는 분이 적은 글임에도 불구하고 그 내용은 매우 수학적인 것이었다. 웹 온톨로지와 규칙을 공부하면서 접한 각종 논리 기호와 집합론적 해석들...... 과연 이 글이 철학 분야의 글이란 말인가? 그렇다면, 컴퓨터 분야의 논리학은 수학과 맞닿아 있고, 이는 다시 철학과 맞닿아 있다는 얘기가 된다. 웹 온톨로지와 규칙을 이용하여 실제 응용될 지식을 저작하고 처리하는 일을 하려면 지식의 본질에 다가가야 하지 않을까? 적어도, 오늘 이 순간만큼은 철학과..